• All
  • 관용구
  • 비즈니스
  • 영문법
  • 영어로 뭐라고 하지?
  • 영어회화
  • 초급
  • 해외

‘Elephant in the Room’의 의미와 사용법 — 큰 문제를 무시하는 것?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방 안에 있는 코끼리‘라는 뜻이 되지만, elephant in the room 는 모두가 알고 있지만 누구도 언급하지 않거나 피하고 싶은 문제를 가리킵니다. 즉, 중요한 문제나 논란이 눈에 보이지만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대화를 하지 않으려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비즈니스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구입니다.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

‘Elephant in the Room’의 의미와 사용법 — 큰 문제를 무시하는 것? Read more

one of a kind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kind 는 ‘종류‘라는 뜻이죠? one of a kind 는 독특하거나 특별한 무엇인가, 누군가를 의미하는 표현합니다.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것을 가리킵니다. 사람을 가리킬 수도 있어요. one of a kind 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긴 있는데, 이 표현은 보통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용사로서 쓰입니다. She’s truly one of a kind,

one of a kind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Read more

a matter of time (시간의 문제)

It’s only a matter of time 는 말 그대로 ‘시간의 문제다‘라는 뜻입니다. 이 표현이 쓰이는 패턴은 (It’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 이며, ‘~하기 전까지 시간의 문제다‘라는 의미입니다. 미래에 확실히 있을 무언가를 얘기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It was only a matter of time. 그건 시간의 문제였어. It’s only

a matter of time (시간의 문제) Read more

I’m in a slump (슬럼프에 빠졌다)

‘슬럼프다‘ 또는 ‘슬럼프에 빠졌다‘ 영어로 하면 I’m in a slump 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to) be in a slump 는 ‘침체 상태에 빠지다‘는 것이죠? 그래서, 최근에 아무 일을 하고 싶지 않거나 목표들을 포기했다면 다음 표현들을 쓸 수 있습니다. I have been in a slump recently. 나는 최근에 부진의 상태에 빠져있어.

I’m in a slump (슬럼프에 빠졌다) Read more

to rain cats and dogs (비가 억수같이 내리다) [어휘]

to rain cats and dogs 이라는 표현은 “비가 억수같이 내리다“라는 뜻이에요. 진짜 고양이랑 강아지가 내리는 게 아니라고요! It’s raining cats and dogs!비가 억수같이 내리네요! It was raining cats and dogs today.오늘은 비가 억수같이 내렸어. It rained cats and dogs yesterday.어제 비가 엄청 많이 내렸어. It’s gonna rain cats and dogs

to rain cats and dogs (비가 억수같이 내리다) [어휘] Read more

to go bankrupt (파산하다) [1분 영어]

to go bankrupt 또는 to be bankrupt 이라는 말씀은 “파산하다“라는 뜻이에요. 진짜 돈이 없을 때 (진짜 파산할 때) 이렇게 표현해도 되는데, 많은 원어민들은 농담을 할 때 이렇게 표현해요. 예를 들으면 “이거 너무 비싸! 너무 비싸서 돈이 없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싶을 때 많은 원어민들은 “I’m bankrupt.” 또는 “This is so expensive

to go bankrupt (파산하다) [1분 영어] Read more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일석이조) [관용어]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는「일석이조」를 의미하는 관용어입니다. to kill 는「죽이다」, two birds 는「두 마리의 새를」, with one stone 는「하나의 돌을 가지고」, 그래서 같이 말해서「두 마리의 새를 하나의 돌을 가지고 죽이다」라는 뜻이 됩니다. 바꿔 말하면,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는「일석이조 (一石二鳥)」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일조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일석이조) [관용어] Read more

To Pick Up The Tab (비용을 계산하다) [관용어]

to pick up the tab 는「비용을 계산하다」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tab 는「계산서」를 의미하는 숙어라고, to pick up 「집다」를 의미하는데, 비유적으로「계산하다」라는 뜻이에요. 그래서 to pick up the tab 는「비용을 계산하다」라는 의미로 나옵니다. pick up 는 동사라고, tab 는 명사 또는 목적어예요! 똑같은 의미를 가진, 관용어가 아닌 표현도 있어요! 그 관용어 아닌

To Pick Up The Tab (비용을 계산하다) [관용어] Read more

To Be On Top Of The World (세상을 얻은 기분이다) [관용어]

to be on top of the world 는「너무 행복하다」또는「세상을 다 얻는 듯한 기분이다」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to be on 이라는 말은「~에 있다」를 의미하죠? top of the world 는「세상의 제일 높은 곳」을 의미하고요. 그래서 같이 말하고 한국어로 직역하면, to be on top of the world 는「세상의 제일 높은 곳에 있다」라는 뜻인데,「너무

To Be On Top Of The World (세상을 얻은 기분이다) [관용어] Read more

To Be On The Same Page (이해를 같이 하다) [관용어]

to be on the same page 는「이해를 같이 하다」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the same page 라는 말은「똑같은 페이지」를 의미하고, to be on 는「~에 있다」를 의미하죠? 그래서 같이 말하고 한국어로 직역하면, to be on the same page 는「똑같은 페이지에 있다」라는 의미로 나오는데,「어떤 것에 대해서 동의하거나 이해한다」라는 의미로 보면 됩니다. We’re on

To Be On The Same Page (이해를 같이 하다) [관용어] Read more

To Turn Over A New Leaf (새 사람이 되다, 생활을 일신하다) [관용어]

to turn over a new leaf 는「새 사람이 되다」또는「생활을 일신하다」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a new leaf 이라는 말은 직역돼서「새로운 나뭇잎」이라는 뜻입니다. to turn over 는「뒤집다」의미하는 동사라고요! 직역하면, to turn over a new leaf 는「새로운 나뭇잎을 뒤집다」라는 의미로 나오는데, 그런 뜻이 아닙니다! 한국어에서는 새로운 책장을 넘기다 같은 표현이 있으시죠? 잘 모르겠는데,

To Turn Over A New Leaf (새 사람이 되다, 생활을 일신하다) [관용어] Read more

To Give a Hand (도와주다, 일손을 돕다) [숙어와 관용어]

이번에는 미국인과 영어 원어민들이 많이 쓰이는 숙어 표현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to give a hand“이란 “도움을 주다“를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to give (someone) a hand“이란 말은 한국어로 직역해서 “(사람에게) 손을 주다・일손을 돕다“를 의미하지만, 이 관용적 표현이 “도움을 주가・도와주다“라는 뜻입니다! 한국말로 “도와주다”가 “help“이라고, “give a hand“의 쓰는 법은 help 이랑 아주 비슷해요!

To Give a Hand (도와주다, 일손을 돕다) [숙어와 관용어] Read more

To Be On Cloud Nine (너무 행복하다) [관용어]

“to be on cloud nine“은 “너무 행복하다“를 의미하는 관용어입니다. “to be on cloud nine ([sc name=”to-be-on-cloud-nine.mp3″ id=”to-be-on-cloud-nine”])“라는 관용어는 “너무 행복하다“를 의미하지만, “하늘에  오를 듯한 기분“이나 “구름 위에 붕 떠 있는 기분이다“로 직역할 수 있습니다! 1930년대에서 미국 기상국 (American Weather Bureau)은 구름을 고도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었는데, “Cloud Nine”은 가장 높이 떠

To Be On Cloud Nine (너무 행복하다) [관용어] Read more

Twenty-Four Seven (언제나, 항상) [관용어]

twenty-four seven은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간“을 의미하는 표현인데, 대화 중에 쓸 때 “언제나“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twenty-four seven ([sc name=”twenty-four-seven.mp3″ id=”twenty-four-seven”] )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간“입니다. 그래서, 이 표현은 비유적으로 “언제나“, 또는 “항상“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라는 의미로 쓸 때는 백화점이나 편의점에서 제일 많이 사용돼요! 몇

Twenty-Four Seven (언제나, 항상) [관용어] Read more

To Be Under The Weather (몸이 편치 않다) [관용어]

under the weather는 “몸이 편치 않다“를 의미하는 관용어라고, “날씨 밑에 있다“로 직역될 수 있습니다. under the weather ([sc name=”Under-the-weather.mp3″ id=”Under-the-weather”])이라는 관용어는 자기의 건강을 묘사하기 위해서 쓸 수 있습니다. under the weather는 이렇게 쓰일 때에 “몸이 좀 안 좋다“나 “몸이 편치 않다“를 의미합니다. 자기의 기분이나 감정을 묘사하기 위해 쓸 수도 있습니다!

To Be Under The Weather (몸이 편치 않다) [관용어] Read more

To Make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줄여서 말하면, 한마디로 말해서) [관용어]

영어 원어민들은 대화 중에 어떤 일이나 상황을 더 빨리 설명해 주고 싶다면, “to make a long story short“이라는 관용어를 자주 씁니다. “to make a long story short ([sc:audio src=”to-make-a-long-story-short.mp3″ id=”to-make-a-long-story-short”])“은 “간단히 줄여서 말하면“, 또는 “한마디로 말해서“를 의미하는 관용어입니다. “Story“는 “이야기” 의미하죠? 이 표현은 “긴 이야기를 더 짧게 만들다“로 직역할 수

To Make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줄여서 말하면, 한마디로 말해서) [관용어] Read more

Tie The Knot (결혼을 하다) [관용어]

“tie the knot“는 “결혼을 하다“를 의미하는 관용어라고, 매듭을 묶다로 직역할 수 있습니다. ‘결혼하다‘를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표준 영어에서 ‘결혼하다‘는 ‘(to) marry‘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는 결혼과 관련된 관용어가 엄청 많습니다. 오늘도 한 가지 흔히 쓰이는 관용어를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to) tie the knot  [sc name=”tie-the-knot.mp3″ id=”tie-the-knot”] 결혼을 하다 (직역: 매듭을 묶다) ‘tie

Tie The Knot (결혼을 하다) [관용어]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