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영문법] There is no way … ; There was no way … (〜할 방법이 없다)

way 는 ‘길‘을 의미하지만, ‘방법‘이라는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따라서 ‘There is no way to + (동사 원형)’, 그리고 ‘There is no way that + (완전한 문장)’ 이라는 패턴은 ‘〜할 방법이 없다‘ 라는 뜻이 됩니다. ‘There is no way that 〜‘ 는 ‘그럴 리가 없다‘ 라고 강한 의구심을 표현할 때도 자주 […]

[초급 영문법] There is no way … ; There was no way … (〜할 방법이 없다) Read more

[초급 영문법] I like … ; I like to … , I like -ing (like 동사의 사용법)

like 는 “좋아하다” 라는 의미죠! 그래서, I like 〜 는 ‘〜를 좋아하다‘ 라는 뜻이 되며, ‘to + (동사 원형)이나 (동명사)’를 붙이면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라는 뜻이 됩니다. 사용법과 의미는 매우 비슷합니다! Example 1I like books. (명사)나는 책을 좋아한다.I like to read books. (to + 동사원형)나는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I like reading books. (동명사)나는 책을 읽는

[초급 영문법] I like … ; I like to … , I like -ing (like 동사의 사용법) Read more

[초급 영문법] I want to … ; I would like to … (〜하고 싶다; 〜했으면 좋겠다

want 는 ‘원하다’ 의미하는 동사인데, 동사원형과 같이 쓰면 ‘〜하고 싶다’라는 뜻이 됩니다. I would like to … 는 기본적으로 똑같은 뜻인데, 조금 더 ‘존댓말’ 같은 표현입니다. 직역하면 ‘~하기를 원하다’라는 뜻이 되지만, 일상에서는 ‘난 ~하고 싶다’라는 의미로 아주 많이 쓰입니다. 이 패턴은 ‘주어 + want to + 동사원형’ 라는 식으로 사용되며, 그

[초급 영문법] I want to … ; I would like to … (〜하고 싶다; 〜했으면 좋겠다 Read more

[초급 영문법] I have … ; I had … (have 동사의 사용법)

I have 는 ‘〜를 가지고 있다‘, ‘〜가 있다‘라는 뜻입니다. have 는 실제로 물건을 가지고 있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데, experience (경험), time (시간), thought (생각), appointment (약속) 과 같은 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에는 have 동사의 사용법을 가르쳐 드립니다. I have … (가지고 있다) have 의 주된 의미는 ‘소유하고

[초급 영문법] I have … ; I had … (have 동사의 사용법) Read more

[초급 영문법] I am sorry that … (〜해서 미안하다)

sorry 는 기본적으로 ‘죄송합니다‘, ‘미안해요‘ 의미하지만, 질문을 하기 전에 ‘실례합니다’ 라고 하고 싶으면 sorry 라고 해도 돼요. ‘유감이다‘ 의미하는 경우도 있긴 있고요. sorry 는 완전한 표현으로 쓸 수 있는데, 여러 가지 패턴의 부분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누군가에게 사과할 때 쓸 수 있는 패턴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I’m sorry that ~

[초급 영문법] I am sorry that … (〜해서 미안하다) Read more

[초급 영문법] I am ready to … ; I am ready for … (〜할 준비가 됐다)

I am ready to 〜 는 ‘〜할 준비가 됐어요‘ 의미하는 패턴입니다. ready 는 주로 형용사로서 사용되지만, 동사로서 쓸 수 있는 경우가 있긴 있어요. 동사로서 쓸 때는 ‘준비하다‘라는 뜻이 되는데, ready 보다 prepare 더 많이 사용됩니다. ready 는 특히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사용됩니다. 위의 패턴들은 아주 비슷하지만, 사용법은 조금 다르죠. to

[초급 영문법] I am ready to … ; I am ready for … (〜할 준비가 됐다) Read more

패턴 : I am about to … (about to 의 사용법) [초급]

(I) (am) about to 〜 는 ‘막 〜하려던 참이다‘, ‘〜하기 직전이다‘ 또는 ‘막 〜하려고 하다‘ 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to 뒤에 동사원형을 붙여서 ‘주어 – be 동사 – about to – 동사원형‘이라는 패턴으로 씁니다. be going to 〜 와 be planning to 〜 는 미래의 예정이나 계획을 나타내며 ‘〜할 예정이다‘라는 의미로

패턴 : I am about to … (about to 의 사용법) [초급] Read more

패턴 : I plan to … ; I am planning to … (동사 plan 의 사용법) [초급]

plan 는 ‘계획‘이라는 뜻이며, 명사와 동사로서 사용됩니다. plan 는 여러 가지 패턴에서 쓰입니다. I plan to (동사원형) 난 ~할 계획이다 I am planning to (동사원형) 난 ~할 계획이다 I plan on (동명사) 난 ~할 계획이다 I am planning on (동명사) 난 ~할 계획이다 위의 패턴들은 다 ‘~할 계획이다‘ ‘~할 예정이다‘

패턴 : I plan to … ; I am planning to … (동사 plan 의 사용법) [초급] Read more

패턴 : Are/Is … going to? ; I am going to … (going to 와 will 의 차이점) [초급]

I am going to … 이라는 패턴은 ‘〜할 것이다‘ ‘〜하겠다‘ ‘〜하려고 하다‘ 의미합니다. 의미와 사용법은 will 과 아주 비슷하지만, I am going to … 는 이미 결정 혹은 계획된 사항을 이야기할 때 사용됩니다. will 는 불확실한 미래, 예측이나 순간적으로 결정되는 사항을 이야기할 때 사용됩니다. I am going to … 는

패턴 : Are/Is … going to? ; I am going to … (going to 와 will 의 차이점) [초급] Read more

패턴 : Will … ? ; I will … , I won’t … (조동사 will 과 단순 미래형) [초급]

영어의 will 는 조동사 중 하나로, ‘~할 것이다’ ‘~하겠다’ 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신의 의지, 할 예정을 나타내기도 하고, 미래에 생길 일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사용됩니다. will 는 단순 미래형으로 사용되며, “주어 – will – 동사의 원형” 이라는 패턴으로 사용됩니다. I will go to Tokyo tomorrow. 저는 내일 도툐 갈 겁니다.

패턴 : Will … ? ; I will … , I won’t … (조동사 will 과 단순 미래형) [초급] Read more

패턴 : Did … ? (do 의 과거형) [초급]

did 는 do 의 과거형입니다. 그래서, “~했어요?“라는 질문을 하고 싶을 때는 “Did + 명사 + 동사 원형“이라는 패턴을 사용하세요. 동사원형의 바로 뒤에는 목적어, 장소나 시간을 붙여 표현하셔도 됩니다. Do you … ? 는 단순 현재형이죠? 단순 현재형은 습관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시제이지만, 단순 과거형은 완성된 행동이나 동작을 나타내는 시제입니다. Did …

패턴 : Did … ? (do 의 과거형) [초급] Read more

패턴 : Do … ? ; Does … ? (do 동사와 의문문) [초급]

Do … ? 와 Does … ? 는 누군가 (무엇인가) 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해 물어보고 싶을 때 사용되는 패턴입니다. “~를 하세요?”와 같은 의문문을 만들고 싶을 때는 “Do/Does + 주어 + 동사원형” 이라는 패턴이 사용됩니다. 이 패턴은 단순 현재형으로 사용되며, 단순 현재형은 습관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 do 는 ‘하다‘ 의미하는 동사이죠? 3인칭 단수의

패턴 : Do … ? ; Does … ? (do 동사와 의문문) [초급] Read more

패턴 : Is there … ? ; There is … (here 와 there 의 사용법) [초급]

be 동사 + there 는 “~가 있다“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There is (단수 명사) (장소). ~가 (~에) 있다 There are (복수 명사) (장소). ~가 (~에) 있다 There is … 와 There are … 는 ‘~가 있다‘라는 뜻이며, 어디에 뭔가 있다는 것 / 존재를 나타내는 패턴입니다. be 동사를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면

패턴 : Is there … ? ; There is … (here 와 there 의 사용법) [초급] Read more

패턴: Are you … ? ; I am … (be 동사의 사용법) [초급]

I am … 는 영어의 제일 기본적인 패턴이죠! I am … 는 ‘저는 … 예요‘ … 라는 뜻이며, Are you … ? 는 ‘당신은 … 예요?‘라는 뜻이 됩니다. am 과 are 둘다 ‘~이다‘ 라는 뜻인데, 형태는 다르죠? be 동사의 형태는 주어에 따라 변합니다. 그래서, 이 패턴의 사용법을 배우기 위해서 be

패턴: Are you … ? ; I am … (be 동사의 사용법) [초급] Read more

의문문에 대한 소개: 의문 대명사와 의문사절 (Interrogatives) [레벨 1]

우리는 지난 번에 의문사에 대해 좀 살펴봤죠? 이번에는 영어의 모든 의문사에 대해 가르쳐 드리고 싶습니다. 의문사 또는 의문 대명사가 무엇인지 기억하시나요? 간단히 말하면, 의문문을 만들 때 사용되는 대명사입니다. when, what, why 이런 단어들은 다 의문사이며, 주어, 목적어 또는 형용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 다음 단어들의 의미와 사용법을 보여드릴게요.

의문문에 대한 소개: 의문 대명사와 의문사절 (Interrogatives) [레벨 1] Read more

의문문에 대한 소개: 질문을 구성하는 법 (Forming Questions) [레벨 1]

이번에는 의문문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의문문에는 의문사를 사용하는 의문문과 의문사를 사용하지 않는 의문문 두 종류가 있습니다. 일단 Yes 나 No 로 답하는 일반 의문문을 만드는 법을 보여 드릴게요.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도 동사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이 3 가지 패턴을 연습해 보면 어떨까요? 우리는 먼저 ‘be 동사 + 주어‘ 라는

의문문에 대한 소개: 질문을 구성하는 법 (Forming Questions) [레벨 1] Read more

영어 동사에 대한 소개: 동작동사와 상태동사 (Action Verbs and Stative Verbs) [레벨 1]

동사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see, read play 와 같은 단어는 다 동사입니다.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는 동작동사 (action verbs)라고 하며,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는 상태동사 (stative verbs)라고 합니다. 이 동사들의 특징을 설명해 드릴게요! 동작동사는 주어가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죠? 상태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죠? 이외에 다른 종류도 있는데, 우리는 이번에 동작동사와

영어 동사에 대한 소개: 동작동사와 상태동사 (Action Verbs and Stative Verbs) [레벨 1] Read more

영어 형용사에 대한 소개: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레벨 1]

형용사는 명사 (대명사) 를 ‘꾸며주는’ 말입니다. 형용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 상태 또는 형태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고, 보통 (대)명사의 앞에 옵니다. 형용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실 알 필요가 없지만, 형용사는 4 가지 종류로 구분합니다. 제일 중요한 거는 용법이죠! 지금 형용사의 사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형용사의 사용법 형용사는

영어 형용사에 대한 소개: 한정적 용법과 서술적 용법 [레벨 1] Read more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명사의 수 (Countable and Uncountable Nouns) [레벨 1]

지난 번에는 우리가 관사에 대해 배웠죠? 우리는 이번에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의 사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명사의 수 (Plural Nouns) 일단 가산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드는 법을 보여 드릴게요. 기본적으로 명사 뒤에 –s 나 –es 를 붙이면 돼요! 예를 보여드릴게요! book > books 책 > 책들 bus > buses 버스 > 버스들 car > cars 차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명사의 수 (Countable and Uncountable Nouns) [레벨 1] Read more

관사 (Articles): a, an, the [레벨 1]

단수 일반명사는 보통 수식어 없이 사용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명사는 보통 소유격 대명사 (my, his), 지시대명사 (this, that), 형용사나 관사와 같은 수식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a, an, the 라는 말은 ‘관사 (articles)’에 속합니다. 한국어에는 관사라는 품사가 없어서, 이해하기가 좀 어려울 수 있죠. 그래서, 이번에는 간단히 설명해 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관사의 종류를 보여 드릴게요! the 는 that

관사 (Articles): a, an, the [레벨 1] Read more

영어 명사에 대한 소개: 명사의 종류와 흔히 사용되는 명사 [레벨 1]

우리는 지금부터 영어에서 제일 흔히 사용되는 품사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여러분이 지난 번에 문장의 구성요소를 배우셨죠? 주어와 목적어가 무엇인지 기억하시죠? 주어와 목적어 자리에서 ‘명사‘가 사용되니까, 우리가 명사의 사용법과 영어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명사들을 살펴보면 여러분에게 큰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명사의 종류 ‘boy (소년)’, ‘girl (소녀)’, ‘friend (친구)’, love (사랑)’ 와 같이

영어 명사에 대한 소개: 명사의 종류와 흔히 사용되는 명사 [레벨 1] Read more

대명사에 대한 소개: 지시대명사 (this, that, these, those) [레벨 1]

이번에 지시대명사와 형용사에 대해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지시대명사는 ‘이것‘, ‘저것‘ 등 사람이나 사물 또는 문장에서 구나 절을 대신 쓰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this 이(것) these 이(것들) that 그(것) those 그(것들) such [그]와 같은 so [그렇게] (the) same [똑같은 것] 일반적으로 거리나 시간 또는 자신의 관점에서 가까운 것을 this/these 으로

대명사에 대한 소개: 지시대명사 (this, that, these, those) [레벨 1] Read more

대명사에 대한 소개: 인칭 대명사 (Personal Pronouns) [레벨 1]

“대명사 (Pronouns)”는 명사 대신 사용되는 품사입니다. ‘I (저, 제가)’, ‘you (당신)’, ‘this (이것)’, ‘that (그것)’, 이런 단어들은 다 대명사입니다. 대명사는 모든 언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품사이고, 대명사의 종류가 많습니다. 레벨 1에서 우리가 대명사의 2 가지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그 2 가지는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라고 부릅니다. 이번 레슨에서 ‘인칭대명사‘에 대해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인칭 대명사 (Personal

대명사에 대한 소개: 인칭 대명사 (Personal Pronouns) [레벨 1] Read more

be 동사에 대한 소개: am, is, are [레벨 1]

be 동사 는 영어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동사인지도 모르겠네요. be 동사 는 아주 많이 사용되는 동사인데, 사용법은 조금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형태가 많거든요. 이번 레슨에서 be 동사의 사용법과 형식에 대해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be 동사란? 간단히 말하면, be 동사 는 ‘이다‘ 또는 ‘있다‘ 의미하는 동사예요. 주어에 따라서 형태가 변하니까 배우기 좀 어려운

be 동사에 대한 소개: am, is, are [레벨 1] Read more

문장의 구성요소 (영문법에 대한 소개) [레벨 1]

문법을 배우는 것 좀 힘들지만, 문법은 정말 중요합니다! 많은 영어 초보자들은 단어를 많이 알지만, 문법 규칙을 잘 몰라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가 어렵고, 영어 원어민과 의사소통을 잘 못 합니다. 제가 하고 싶은 말씀은 문법이 모든 언어의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처음에는 문법만 공부하는 것이 안 되죠?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문장의 구성요소 (영문법에 대한 소개) [레벨 1] Read more

‘want’ 와 ‘want to’

want 동사 는 명사와 같이 사용되면 ‘(…)를 원하다‘ 의미하는데, ‘to + (동사원형)’과 같이 쓰면 ‘~하고 싶다‘라는 뜻이 됩니다. I want (명사).~를 원하다 I want to (동사원형).~하고 싶다 예문을 좀 보여드릴게요. I want coffee.난 켜피를 원해. (마시고 싶다) I want to go to a cafe.난 카페 가고 싶어. I want these

‘want’ 와 ‘want to’ Read more

I’m into (관심사)

“I’m into (관심사)”는 ‘난 … 에 관심이 있다‘, ‘… 빠져 있다‘ 또는 ‘… 를 좋아한다‘ 의미하는 문장 패턴입니다. 이 표현은 “I’m interested in …” 와 뜻이 똑같은데, “I’m into …” 는 조금 더 일상적인 표현입니다. into 뒤에 명사나 동명사인 관심사를 붙여 표현하면 됩니다. 문장 뒤나 처음에 ‘These days‘ 또는 ‘Lately‘

I’m into (관심사) Read more

We’re here! (도착했다)

‘도착하다‘는 영어로 어떻게 말하는지 아시죠? arrive 라고 합니다. 그레서, ‘도착했다‘ 는 We’ve arrived 으로 표현해도 되는데, 많은 원어민들은 ‘주어 + be 동사 + here‘ 인 패턴으로 표현합니다. 예를 좀 보여드릴게요. I’m here! 난 도착했어! We’re here! 우리 도착했어! He’s here! 그가 왔어! She’s there. 그녀가 거기 도착했어. They’re there. 그들이

We’re here! (도착했다) Read more

the time when… (~했을 때, when절)

이번에는 when절에 대해 좀 말하고 싶습니다. when 는 의문사로써 사용된다면 ‘언제‘ 의미하는데, 의문사절에서 쓰면 ‘~때‘ 의미합니다. 많은 의문사절은 관련된 명사와 사용되시죠? 예를 들어, why가 reason과 많이 사용되고, who가 person과 많이 사용되죠. when 는 관련된 명사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되게 많은데, 무슨 특정한 시간을 묘사하고 싶다면 “the time when“이라는 패턴을 쓸

the time when… (~했을 때, when절) Read more

the place where… (하는 곳, 했던 곳; where절)

place 는 ‘곳‘ 또는 ‘장소‘ 의미하시죠? 이런 명사는 where절과 많이 사용됩니다. 같이 합쳐서 말하면, ‘~하는 곳‘ 또는 ‘~했던 곳‘ 의미하는 “the place where…“으로 나옵니다. 형용사는 명사의 모습 또는 성격을 묘사하는데, 의문사절은 누군가 하는 행동을 묘사하는 거에요. 어떤 장소에서 누군가 하는 행동을 묘사하고 싶다면, where절으로 그렇게 할 수 있어요. 의문사절은 완전한

the place where… (하는 곳, 했던 곳; where절) Read more

the person who… (~하는 사람; who절)

“the person + who 절‘은 영어에서 아주 많이 나오는 ‘세트’입니다. the person 는 “(그) 사람” 의미하시죠? 이 명사를 수식하고 싶으면 두 가지 방법 있어요. 형용사를 사용함으로 수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형용사는 명사의 모습 또는 성격을 묘사합니다. 예 들으면 ‘the pretty person‘, ‘the fast boy‘, ‘the angry man‘. 의문사절은 명사가 하는

the person who… (~하는 사람; who절) Read more

the reason why… (~하는 이유; why절)

자기가 무언가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싶을 때는 “The reason why …” 같은 패턴을 쓰면 됩니다. 다른 글에서 의문사절의 사용법을 설명했지만, 이 번에 한 가지 의문사절을 가르쳐드리겠습니다. reason는 “이유“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why 는 “왜” 또는 “왠지“를 의미하는 의문대명사이죠? 근데, 완전한 문장의 앞에 why를 붙이면, 의문사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문사절“은 주어,

the reason why… (~하는 이유; why절) Read more

의문사절에 대한 소개 (Interrogative Clauses)

이번에는 의문사절의 사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문 대명사” 또는 “의문사“가 무슨 것인지 기억하시나요? 문장의 앞에서 나오는, 의문문을 만드는 말입니다. 이 6 가지 의문문을 다시 복습합시다! who누구 what뭐, 무슨 when언제, 때 where어디 why왜, 왠지 how어떻게, 어때 이 의문사들은 문장의 앞에서 나오면, 문장이 의문문으로 나오는데, 의문사의 뒤에 기본적인 문장을 붙이면 “의문사절” 만들 수

의문사절에 대한 소개 (Interrogative Clauses) Read more

영어로 “왜인지”를 표현하는 법 (why, for some reason)

이번에 영어로 “왠지“를 표현하는 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한국어의 “왠지“라는 말은 “왜 + ~지“의 합성어이죠? 영어로 표현하면 그냥 “why” 쓰면 되는데, 목적어로써 사용되는 것이에요. 한국어의 “왠지“처럼, “why“는 주로 “know (알다)” 또는 “don’t know (모르다)”라는 동사와 사용됩니다. 많이 사용되는 문장 패턴을 보여드릴게요! (to) know why왠지 알다 (to) not know why왠지 모르다 Do

영어로 “왜인지”를 표현하는 법 (why, for some reason) Read more

Let’s 와 Let us 의 차이점 (~하자, ~합시다, 허락하다?)

“Let’s + (동사원형)” 이란 제안을 하도록 사용되는 패턴입니다! “Let” 이라는 동사는 조금 특이한 동사라고, 한국어로 정확히 해석하기 좀 어려운 말씀이에요. Let 는 한국어로 해석하면, 약간 “~하게 하다” 또는 “허락하다“라는 뜻이에요. 누군가 무언가를 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Let’s 는 간접명령문으로 “(…)를 같이 하자” 또는 “(…)를 같이 합니다“라는

Let’s 와 Let us 의 차이점 (~하자, ~합시다, 허락하다?) Read more

Do you wanna … (~할래요?)

“Do you wanna … ?” 라는 패턴은 한국어로 “하고 싶어요?”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Do you wanna … ?” 는 “~할래요“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래서 이 패턴은 동시에 질문을 하면서 제안을 하도록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많은 원어민들은 우리가 배운 대로 일상적인 회화에서 want to 를 wanna 라고 발음합니다. wanna 는 “질문을

Do you wanna … (~할래요?) Read more

영어회화에서 많이 나오는 “hafta”

have to 는 “~해야 한다“라는 뜻이죠? 이거는 표준어인데, 많은 복미인들은 have to 를 hafta (해프터)라고 발음합니다. 이런 발음은 특히 일상적인 회화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직장에 표준어라는 have to 를 쓰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거는 되게 informal한 말씀이에요. hafta 의 사용법은 have to 와 똑같습니다! 그래서 문장을 구성할 때 <주어 +

영어회화에서 많이 나오는 “hafta” Read more

have to; don’t have to (~해야 한다; ~하지 않아도 된다)

have 이란 무슨 뜻인지 기억하세요? 간단히 말해서, “가지고 있다” 또는 “있다“라는 뜻이죠? have의 뒤에 “to + (동사원형)“을 붙이면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나옵니다. have to 는 need to (~할 필요가 있다) 보다 덜 강력한 의미로 일반적으로 해야 하는 일을 나타냅니다. have to (동사원형) 이렇게 쓰면, have는 조동사가 됩니다! 문장을 구성할 때는

have to; don’t have to (~해야 한다; ~하지 않아도 된다) Read more

need; need to (필요한다; ~해야 한다)

need 는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동사로써 쓰면, “필요하다“라는 의미로 나오는데, 조동사로써 쓰면 “~할 필요가 있다” 또는 “~해야 한다” 라는 뜻이에요. 사용법을 좀 살펴봅시다! need + (목적어)  동사로써 쓰면, <주어 + need + 목적어> 같은 식으로 써야 합니다. 예 들으면, “I need time” 이란 “나는 시간이 필요하다“라는 뜻이에요.

need; need to (필요한다; ~해야 한다) Read more

영어회화에서 많이 나오는 “gonna”

going to 라는 패턴은 무슨 뜻인지 기억하세요? 미래형의 “~하겠다” 또는 “~할 것이다” 의미하는 말씀이에요. going to 는 표준어인데, 많은 복미인들은 going to 를 gonna (거너) 라고 발음합니다. gonna 는 일상적인 영어 회화에서 엄청 많이 나오는데, 격식 차린 상황 또는 직장에서 표준어라는 going to 쓰면 더 좋습니다. 그래도, 많은 미국인들은 going

영어회화에서 많이 나오는 “gonna” Read more

영어회화에서 많이 나오는 “wanna”

다들 “want to” 무슨 뜻인지 알고 있죠? “~하고 싶다” 의미하는 패턴이죠. 이거는 딱 표준어인데, 복미인들은 want to 를 wanna (원너) 라고 발음합니다. 이런 말씀은 일상적인 말씀이라서, 일상적인 영어회화에서 엄청 많이 나옵니다. 그래도, wanna 는 informal한 말씀이라서, 격식 차린 상황 또는 직장에 want to 쓰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영어 원어민들이

영어회화에서 많이 나오는 “wanna” Read more

Please; Can you please … ? (~하세요; ~하실 수 있을까요?)

지난 번은 우리가 영어의 please 에 대해 배웠죠? 이번은 동사원형에 please를 붙이는 법을 가르쳐드리겠습니다.「~하세요」또는「~해 주세요」라는 패턴은 영어로  “please + (동사의 원형)”라고 합니다. 그래서「보세요」라는 말씀은 영어로 “please look“라고 합니다.「오세요」라는 말씀은 “please come” 라고 합니다.「들어 주세요」는 영어로 “please listen” 라고 합니다. 목적어는 동사의 뒤에 옵니다! Please look at this.이거를 좀 보세요. Please

Please; Can you please … ? (~하세요; ~하실 수 있을까요?) Read more

Can I … ?, May I … ? (~하면 되실까요?)

can 이라는 조동사는 허락을 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이렇게 쓰면「하면 돼요?」또는「해도 될까요?」라는 의미로 나옵니다. (대)명사를 좀 바뀌면 만들 수 있는 문장이 많을 것입니다. Can I … ?제가 … 하면 될까요? Can we … ?우리가 … 하면 될까요? Can you … ?당신이 … 하면 될까요? Can (Dustin) … ?더스틴이 …

Can I … ?, May I … ? (~하면 되실까요?) Read more

can / can’t / be able to (~할 수 있다, ~할 수 없다)

이번은 “can” 이라는 조동사의 의미와 사용법에 대해 설명해 보고 싶습니다! “can” 는 「~할 수 있다」라는 뜻입니다. “can” 이란 영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사 중 하나인데, 조동사라서 “can” 의 뒤에는 동사원형을 붙여야 합니다! 그래서 “can + (동사의 원형)”라는 패턴은「(…) ~할 수 있다」라는 뜻이에요. “can” 는 다음 예문과 같이 주어의 뒤에 옵니다.

can / can’t / be able to (~할 수 있다, ~할 수 없다) Read more

부정문을 만들기 (Negative Sentences)

한국어에서 부정문은 “~이 없다“, “~이 아니다“, 또는 “~하지 않는다“와 같이 문장 끝에서 부정을 나타내지만 영어의 부정문은 어떤 단어를 부정해야 하는지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Example 1 Are you busy tomorrow? (내일 바빠요?) No, I’m not. (아니요, 안 바빠요.) Example 2 Do you have any money? (돈이 좀 있어?) No,

부정문을 만들기 (Negative Sentences) Read more

“How do… ?” “How can…?”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하면 돼요?)

“어떻게” 라는 말씀은 영어로 “how“라고 합니다. “how” 는 영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의문 대명사라고, 특히 2 가지 패턴에서 사용됩니다. “How do … ?” 라는 패턴은 한국어로「어떻게 해요?」라는 의미로 나오고, “How can … ?“라는 말씀은「어떻게 하면 될까요?」라는 뜻이에요. How do … ?어떻게 (해)요? How can … ?어떻게 (하)면 돼요? 어떤 일을 어떻게

“How do… ?” “How can…?”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하면 돼요?) Read more

문장의 구성 요소! (영어 문장을 만드는 방법)

문법을 배우는 것 좀 힘들지만, 문법은 정말 중요합니다! 많은 영어 초보자들은 단어를 많이 알지만, 문법 규칙을 잘 몰라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가 어렵고, 영어 원어민과 의사소통을 잘 못 합니다. 제가 하고 싶은 말씀은 문법이 모든 언어의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처음에는 문법만 공부하는 것이 안 되죠?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문장의 구성 요소! (영어 문장을 만드는 방법) Read more

Water Under The Bridge (지나간 일) [관용어]

water under the bridge는 다리 밑의 물 의미하는 영어 관용어라고, 지나간 일, 끝난 일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기의 과거, 실수, 후회는 다리 밑의 물와 같으시죠? 계속 생각하면, 계속 후회하면, 과거를 아직 바꿀 순 없잖아요. 그런 일이 이미 지났스니까요. Water Under the Bridge라는 관용어는 약간 그런 뜻이에요. 원어민들은 이런 관용어 쓸

Water Under The Bridge (지나간 일) [관용어] Read more

may <> might [모달 동사]

“May“와 “Might“는 가능성, 허가 또는 허락을 나타내는 “모달 동사” (Modal Verbs)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많은 사람들은 “might“가 “may“보다 가능성이 더 낮다고 생각하지만, 둘 다 서로 바꿔 사용될 수 있습니다. 미래의 가능성 May와 Might는 주로 미래의 가능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I might go to the concert. I may go to the concert. May와

may might [모달 동사] Read more

can, can’t <> could, couldn’t [모달 동사]

Can과 Could는 “모달 동사 (Modal Verbs)”입니다. 일반적으로, Could는 Can보다 조금 더 공손하고, 조건부 형태로 간주됩니다. (CAN CHART) Can 간단히 말해서, Can이란 말에는 세 가지 용법 있어요!  1.) 능력, 2.) 가능성, 3.) 허락. 그렇지만, 다른 용법도 있습니다. 1.)  능력을 묘사하기 Can은 누군가 어떤 일을 (신체적으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거나, 누군가

can, can’t could, couldn’t [모달 동사] Read more

will, won’t <> would, wouldn’t [모달 동사]

Will과 Would 대한 질문을 자주 받아요! 이 두 단어는 아주 비슷하는데, 약간의 차이 있고요! 간단히 설명해서, Will가 의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Would는 Will과 너무 비슷하지만, 조건부 형태입니다. 둘 다 “모달 동사 (Modal Verbs)”이라고요. 대화 중에, Will의 약어가 더 흔히 사용되는데요, 명사나 대명사 끝에서 ‘ll를 붙여 약어를 작성합니다 (I’ll, we’ll, they’ll, she’ll). (CHART) Will

will, won’t would, wouldn’t [모달 동사] Read more

모달 동사 (Modal Verbs)

모달 동사 (Modal Verbs)는 조동사 (Helping Verbs)라고 불리는 동사의 범주에 속합니다. 조동사는 혼자로 사용될 수 없으며, 다른 본동사 (Main Verb)와 함께 사용해야 됩니다. 흔히 쓰이는 모달 동사는 다음 동사과 같습니다. Can Could May Might Must Shall Should Will Would 모달 동사는 능력, 의무, 허가, 추정, 가능성, 요청과 제안, 조언을 표하기

모달 동사 (Modal Verbs)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