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 (동사원형)” 이란 제안을 하도록 사용되는 패턴입니다! “Let” 이라는 동사는 조금 특이한 동사라고, 한국어로 정확히 해석하기 좀 어려운 말씀이에요. Let 는 한국어로 해석하면, 약간 “~하게 하다” 또는 “허락하다“라는 뜻이에요. 누군가 무언가를 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Let’s 는 간접명령문으로 “(…)를 같이 하자” 또는 “(…)를 같이 합니다“라는 뜻입니다. “Let’s“는 “Let + us“의 축약형이라고요. 문장을 구성하려면, <Let’s + 동사원형 + 목적어> 또는 <Let’s + be 동사 + 보어> 같은 패턴을 쓰면 됩니다.
- Let’s have dinner tomorrow!
우리 내일 같이 저녁을 먹자! - Let’s see a movie later!
우리 나중에 같이 영화를 보자! - Let’s be happy!
우리 행복하자! - Let’s work hard!
우리 열심히 일합시다! - Let’s play a game!
우리 게임을 합시다! - Let’s go to Jeju next week.
우리 다음 주에 제주도 가자!
“Let’s“와 “Let us“의 차이점을 좀 살펴봅시다. “~하자” 의미하는 “Let’s“를 “Let us“로 풀어서 잘 쓰지 않습니다. 왜요? “Let“는 “~하게 하다” 또는 “~허락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이거든요! 예문을 좀 보여드릴게요.
Example 1
1.) Let’s go on a trip.
우리 여행 가자.
2.) Let us go on a trip.
우리 여행으로 가게 해주세요.
Example 2
1.) Let’s have dinner!
우리 저녁을 먹자!
2.) Let us have dinner!
우리 저녁을 먹게 해줘!
Example 3
1.) Let’s play a game!
우리 게임을 합시다!
2.) Let us play a game!
우리 게임을 하게 해주세요!
그래서 “Let’s“를 “Let us“로 풀어서 쓰면, us를 동사라는 let 의 목적어로써 사용됩니다. 그렇게 쓰면 “우리가 … 하게 해주세요“라는 의미로 나옵니다. 좀 주의하세요!
댓글 달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