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문을 만들기 (Negative Sentences)

한국어에서 부정문은 “~이 없다“, “~이 아니다“, 또는 “~하지 않는다“와 같이 문장 끝에서 부정을 나타내지만 영어의 부정문은 어떤 단어를 부정해야 하는지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Example 1
Are you busy tomorrow?
(내일 바빠요?)
No, I’m not.
(아니요, 안 바빠요.)

Example 2
Do you have any money?
(돈이 좀 있어?)
No, I don’t.
(아니, 없어.)

Example 3
Can you speak Japanese?
(일본어 할 줄 알아요?)
No, I can’t.
(아니요, 못 해요.)

위의 예문과 같이 의문문을 부정적으로 대답할 때는 다음과 같습니다. 3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be 동사의 경우에는 be 동사 다음에 not 를 씁니다.
  2. 일반동사의 경우에는 do 동사 (do, does, did)를 씁니다.
  3. 조동사가 있을 때는 그 조동사를 사용합니다.

먼저 be 동사를 부정적으로 쓰는 법을 더 자세히 가르쳐 드리겠어요.

be 동사와 not

be 동사 부정문을 만들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be 동사 바로 뒤에 not 를 쓰면 끝입니다. 이 패턴은 “~가 아니다” 또는 “~지 않다” 라는 뜻이에요. 몇 가지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is“부터 시작하겠습니다.

  • He is not busy.
    그는 바쁘지 않아요.
  • She is not Korean.
    그녀는 한국인 아니에요.
  • Dustin is not fat.
    더스틴은 뚱뚱하지 않아.

축약형이 있어요! “is + not” 를 합하면 isn’t 가 됩니다.

  • Suwon isn’t a big city.
    수원은 큰 도시 아니야.
  • He isn’t angry.
    그는 화나지 않아요.
  • She isn’t tired.
    그녀는 피곤하지 않아요.
  • My name isn’t Justin.
    저의 이름은 저스틴 아니에요.

am를 부정적으로 쓰는 경우에는 notam 뒤에 붙여서 쓰면 됩니다. 축약형을 쓰고 싶다면, Iam를 합하면 됩니다.

  • I am not busy on Tuesdays.
    나는 화요일에 바쁘지 않아요.
  • I am not working tomorrow.
    나는 내일에 일을 안 해요.
  • I’m not sleepy.
    나는 졸리지 않아요.
  • I’m not Justin.
    나는 저스틴 아니에요.

are 의 경우에는 are 의 뒤에 not 를 쓰거나 arenot를 같이 합해도 됩니다. 그렇게 하면, 축약형이라는 aren’t으로 나옵니다.

  • We aren’t happy living in Seoul.
    우리는 서울에서 사는 것이 행복하지 않다.
  • We aren’t Americans.
    우리는 미국인 아니에요.
  • We aren’t busy tomorrow!
    우리는 내일 바쁘지 않아요!
  • We aren’t brothers, but we’re friends.
    우리가 형제 아닌데, 친구예요.

과거형과 미래형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쓰는 법 똑같아요! 그냥 be 동사 뒤에 not를 붙이면 되고요. 과거형으로 be 동사 부정문을 만드는 법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 is not, am not -> was not (wasn’t)
    (아니다 > 아니었다)
  • are not -> were not (weren’t)
    (아니다 > 아니었다)

isam 는 과거형으로 바뀌었을 때 was 가 됩니다. 그래서 부정적으로 쓰면 was not 으로 나옵니다. was not의 축약형은 wasn’t 라고 합니다. are 는 과거형으로 were 가 돼서, 부정적으로 쓰면 were not 또는 weren’t 으로 바뀝니다. were not 이랑 weren’t 는 “아니었다“라는 뜻입니다.

  • He wasn’t feeling well today.
    그는 오늘 몸이 좋지 않았어요.
  • She wasn’t happy this morning.
    그녀는 아침에 기분이 안 좋았어요..
  • The movie wasn’t very good.
    그 영화는 별로 좋지 않았어.
  • We weren’t busy this morning.
    우리는 아침에 안 바빴어.
  • We weren’t planning on taking a trip.
    우리는 여행 갈 계획이 없었어요.

to be 의 미래형은 will be 이죠? 부정적으로 표현할 경우에는 notwill 의 뒤에 붙이면 됩니다. 그래서 will not be 쓰면 되고, 아니면 won’t be 써도 돼요. won’twill + not 의 축약형이에요. 이거는 “아닐 것이다“라는 뜻입니다.

  • I will not be attending the meeting.
    저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입니다.
  • He won’t be busy tomorrow.
    그는 내일 바쁘지 않을 것이다.
  • I won’t be going to Jeju this year.
    나는 올해 제주에 가지 않을 것이다.
  • We won’t be happy.
    우리는 기쁘지 않을 거야.

일반동사의 경우, do 동사와 not

do 동사로 부정문을 만드는 법은 do동사 (do, did, does)에 not 를 붙이고 일반동사 앞에 위치시키면 됩니다. do + not 를 같이 합하면, don’t 라는 축약형으로 나옵니다. don’t 는 한국어로 “~하지 않다” 또는 “안 하다“라고 합니다. 그래서, 일반동사를 don’t 의 뒤에 쓰면 됩니다. 3인칭 단수형 (He, She, 명사) 쓸 때 dodoes 으로 바뀌어서, does not 또는 doesn’t 를 쓰면 됩니다.

  • eat -> don’t eat
    (먹어 > 안 먹어)
  • drink -> don’t drink
    (마셔 > 안 마셔)
  • sleep -> don’t sleep
    ( > 안 자)
  • work -> don’t work
    (일해 > 일을 안 해)
  • stop -> don’t stop
    (그만해 > 그만하지 않아)

몇 가지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 I don’t feel cold.
    나는 안 추워.
  • She doesn’t like to sleep in late.
    그녀는 늦잠 자는 걸 싫어한다.
  • He doesn’t teach Chinese, he teaches English.
    그는 중국어를 가르치는 게 아니라 영어를 가르친다.
  • Dustin doesn’t like to eat spicy food.
    더스틴은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을 좋아하지 않다.
  • We don’t work on Saturdays and Sundays.
    우리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일하지 않다.
  • I don’t know the correct answer.
    저는 정답을 모르겠어요.

과거형을 쓸 때는 do not 또는 don’tdid not  또는 didn’t 으로 바뀌면 됩니다. 일반동사가 didn’t 의 뒤에 나와요.

  • ate -> didn’t eat
    (먹었어 > 안 먹었어)
  • drank -> didn’t drink
    (마셨어 > 안 마셨어)
  • slept -> didn’t sleep
    (잤어 > 안 잤어)
  • worked -> didn’t work
    (일했어 > 일을 안 했어)
  • stopped -> didn’t stop
    (그만했어 > 그만하지 않았어)

몇 가지 예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I didn’t eat breakfast this morning.
    나는 오늘 아침에 밥을 안 먹었어.
  • He didn’t drink with us yesterday.
    어젯밤엔 그가 우리랑 술을 안 마셨어.
  • We didn’t sleep last night, because the neighbors were noisy.
    옆집 사람들이 시끄러워서 우리는 어젯밤에 잠을 못 잤다.
  • I didn’t work at all last month.
    나는 지난달에 전혀 일을 하지 않았다.
  • She didn’t give up on her goals, that’s why she succeeded.
    그녀는 자기의 목표를 포기하지 않아서 성공했다.

미래형은 조금 다른데요. 영어에서 미래를 나타낼 때 will + (동사원형) 같은 패턴이 많이 사용되는데, 부정적으로 표현하면 willnot 를 붙이고 일반동사 앞에 위치시키면 됩니다. will not 의 축약형은 won’t 라고 합니다.

  • will eat -> won’t eat
    (먹을 것이다 > 먹지 않을 것이다)
  • will drink -> won’t drink
    (마실 것이다 > 마시지 않을 것이다)
  • will sleep -> won’t sleep
    (잘 것이다 > 자지 않을 거이다)
  • will work -> won’t work
    (일할 것이다 > 일하지 않을 것이다)
  • will stop -> won’t stop
    (그만할 것이다 > 그만하지 않을 것이다)

문장을 만들어 봅시다!

  • I won’t give up!
    난 포기 하지 않을 거야.
  • She won’t eat spicy foods.
    그녀는 매운 음식을 안 먹어.
  • He won’t work unless you pay him well.
    돈을 잘 주지 않으면 그가 일하지 않을 거야.
  • I won’t work on weekends.
    저는 주말에 일을 하지 않을 거에요.
  • We won’t stop working until you’re satisfied.
    당신이 만족할 때까지 저희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조동사와 not

not 는 will, can, should과 같은 조동사 (모달 동사)와 많이 사용됩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조동사를 좀 보여드릴게요.

부정형축약형예들
do not (v.)
~지 않다 
don’t (v.)
  • I don't eat breakfast everyday.
  • I don't work on Fridays.
  • can not (v.)
    ~못하다
    can’t (v.)
  • I can't speak Spanish.
  • I can't go to work tomorrow.
  • will not (v.)
    ~지 않을 것이다
    won’t (v.)
  • I won't give up!
  • I won't start my new job until November.
  • should not (v.)
    ~해서는 안되다
    shouldn’t (v.)
  • You shouldn't skip school.
  • You shouldn't be so negative.
  • have not (pp.)
    아직... ~지 않았다
    haven’t (pp.)
  • I haven't left for America yet.
  • I haven't eaten dinner.
  • 다른 레슨에서 조동사에 대해 더 잘 가르치고 싶은데, 조동사를 부정적으로 쓰는 법을 간단히 가르쳐 드릴게요.

    조동사에 not 를 붙이고 일반동사 앞에 위치시키면 됩니다. 예를 들으면, can 는 “할 수 있다” 의미하는 조동사예요! can 의 바로 뒤에 not 를 붙이면 “할 수 없다” 의미하는 can not 가 됩니다. 축약형은 can’t 라고요! can’t 의 뒤에 동사를 쓰면, can’t go (갈 수 없다, 못 가다) 또는 can’t see (볼 수 없다, 안 보이다) 같은 말씀을 할 수 있어요. 앞으로 더 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마지막, 몇 가지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 I can’t work on Saturdays.
      저는 일요일에 일을 하지 못해요.
    • She won’t help me with my homework.
      그녀는 나의 숙제를 도와주지 않는다.
    • You shouldn’t say mean things to people.
      다른 사람에게 나쁜 말을 해서는 안 된다.
    • I haven’t been to Australia before.
      저는 호주 가 본 적이 없어요.
    • You don’t need to worry about me.
      나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도 돼.


    댓글 달기

    最近の記事

    • ‘수고하세요’, ‘수고하셨어요’, ‘수고했습니다’는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상황별로 쓸 수 있는 9가지 표현

      ‘수고해‘ 또는 ‘수고했어요‘와 같은 표현들은 한국의 직장 생활이나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표현이죠? 자주 쓰이는 표현인데, 문화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표현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수고했어‘는 직접 번역할 수 없는 표현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써야 됩니다. 이번 레슨에서는 세 가지 상황에서 적절하게 쓸 수 있는 영어 표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

    • ‘I’m sure’ 와 ‘I’m not sure’ 의 의미와 사용법

      영어의 I’m sure 와 I’m not sure 는 확신이나 불확실성을 전달하는 표현이며, 이 표현들은 화자가 어떤 일에 대해 확신이 있는지, 또는 불안이나 의문을 가질 때 쓰입니다. 두 표현 모두 독립적으로 쓸 수 있지만,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싶을 때는 뒤에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법을 설명해 […]

    • ‘Elephant in the Room’의 의미와 사용법 — 큰 문제를 무시하는 것?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방 안에 있는 코끼리‘라는 뜻이 되지만, elephant in the room 는 모두가 알고 있지만 누구도 언급하지 않거나 피하고 싶은 문제를 가리킵니다. 즉, 중요한 문제나 논란이 눈에 보이지만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대화를 하지 않으려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비즈니스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구입니다.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

    • ‘잘 부탁드립니다’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요? 상황별로 사용할 수 있는 5가지 표현

      ‘잘 부탁드립니다‘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이죠? 영어의 ‘부탁’은 ‘favor‘ 라고 하는데, ‘잘 부탁드립니다‘ 는 영어로 직접 번역하기가 조금 어려운 표현입니다. 그렇지만 한국어의 ‘잘 부탁드립니다‘는 주로 상대방에게 협조나 도움을 요청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영어에서도 그 의미와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그 표현들을 상황에 맞게 소개하겠습니다. 상황별로 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