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영문법] I am sorry that … (〜해서 미안하다)

sorry 는 기본적으로 ‘죄송합니다‘, ‘미안해요‘ 의미하지만, 질문을 하기 전에 ‘실례합니다’ 라고 하고 싶으면 sorry 라고 해도 돼요. ‘유감이다‘ 의미하는 경우도 있긴 있고요. sorry완전한 표현으로 쓸 수 있는데, 여러 가지 패턴의 부분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누군가에게 사과할 때 쓸 수 있는 패턴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 I am sorry (that) + (완전한 문장)
    ~해서 죄송합니다
  • I am sorry for + ([]명사)
    ~해서 죄송합니다.
  • I am sorry to + (동사원형)
    ~해서 죄송합니다.
  • I am sorry but + (완전한 문장)
    죄송하지만, ~
I’m sorry that ~

I’m sorry (that) ~ 는 ‘~해서 죄송합니다‘ ‘~해서 미안합니다‘ 라는 뜻입니다. 접속사 that 의 뒤에는 ‘주어동사 (- 목적어/보어)’라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그렇지만, 회화에서는 that 가 생략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Example 1
I am sorry that I am late.
늦어서 죄송합니다.
I am sorry I am late.
늦어서 죄송합니다.

의미는 똑같죠? 접속사 that 는 특히 두 가지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만, 일상 회화에서는 that생략해도 돼요. 그러면, 여러 가지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 I am sorry that I kept you waiting.
    기다리게 해서 죄송해요
  • I’m sorry that I disappointed you.
    실망시켜서 미안해요.
  • I’m sorry I forgot.
    잊어버려서 미안해.
  • I am sorry that I’m not helpful.
    도움이 되지 못해서 미안해요.
  • I’m sorry that I can’t speak English well.
    영어 잘 못 해서 미안해요.
I am sorry to 〜

I am sorry to 〜 도 ‘〜해서 죄송합니다‘ ‘〜해서 미안합니다‘ 라는 뜻입니다. 가까운 미래가까운 과거의 일에 대해 사과할 때 I am sorry 의 뒤에 to 부정사를 붙이고, to 의 뒤에는 동사원형 (- 목적어) 가 옵니다.

  • I’m sorry to bother you.
    방해해서 죄송합니다.
  • I am sorry to interrupt you.
    방해해서 죄송합니다.
  • I am sorry to make this request.
    이런 부탁을 해서 죄송합니다.

가까운 과거먼 과거에 생긴 일에 대해 사과할 때 I am sorry to have (과거분사)라는 패턴도 많이 사용됩니다.

  • I am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
    실망시켜서 미안해요.
  • I am sorry to have asked you.
    물어봐서 미안해요.
  • I am sorry to have bothered you.
    방해해서 죄송합니다.

sorry 는 ‘미안하다‘ 라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상대방의 상황이 안 좋거나 안 좋은 소식을 들었을 때 유감을 나타냅니다. 유감을 나타낼 때는, I’m sorry to hear that ~ 이라는 식으로 표현됩니다. 직역은 ‘〜를 들어서 미안합니다‘인데, 실제로 ‘〜하다니 유감입니다‘ 또는 ‘듣게 되어서 안타깝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여러 가지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 I’m sorry to hear about your grandpa. He was such a sweet person.
    할아버지에 대한 소식을 듣게 되어 안타깝습니다. 정말 좋은 분이셨어요
  • I’m sorry to hear that you got kicked out from your apartment.
    아파트에서 쫓겨났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 안타깝습니다.
  • I’m sorry to hear that you’ve been ill.
    아프셨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 안타깝습니다.
I am sorry for 〜

I am sorry for 〜 는 똑같은 뜻인데, 명사동명사와 같이 사용됩니다. 예문을 보여드릴게요.

  • I’m sorry for making a mistake.
    잘 못 해서 죄송합니다.
  • I’m sorry for asking.
    물어봐서 미안해요.
  • I’m sorry for worrying you.
    걱정시켜서 미안합니다.
  • I’m sorry for troubling you.
    불편을 끼쳐드려서 죄송합니다.
  • I am sorry for making this request.
    이런 부탁을 해서 미안합니다.
I’m sorry, but …

I’m sorry, but 〜 는 ‘죄송하지만,‘라는 뜻이죠. 이 패턴은 상대방에게 나쁜 소식을 알려 줄 때상대방을 반대할 때, 또는 No 라고 대답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 I’m sorry, but I can’t.
    죄송하지만, 저는 못 합니다.
  • I’m sorry, but the answer is no.
    미안한데, 안 돼요.
  • I’m sorry, but I’m going home.
    미안한데, 집에 갈 거에요.
  • I’m sorry, but I am busy now.
    죄송한데, 지금은 바빠요.

댓글 달기

最近の記事

  • ‘수고하세요’, ‘수고하셨어요’, ‘수고했습니다’는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상황별로 쓸 수 있는 9가지 표현

    ‘수고해‘ 또는 ‘수고했어요‘와 같은 표현들은 한국의 직장 생활이나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표현이죠? 자주 쓰이는 표현인데, 문화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표현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수고했어‘는 직접 번역할 수 없는 표현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써야 됩니다. 이번 레슨에서는 세 가지 상황에서 적절하게 쓸 수 있는 영어 표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

  • ‘I’m sure’ 와 ‘I’m not sure’ 의 의미와 사용법

    영어의 I’m sure 와 I’m not sure 는 확신이나 불확실성을 전달하는 표현이며, 이 표현들은 화자가 어떤 일에 대해 확신이 있는지, 또는 불안이나 의문을 가질 때 쓰입니다. 두 표현 모두 독립적으로 쓸 수 있지만,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싶을 때는 뒤에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법을 설명해 […]

  • ‘Elephant in the Room’의 의미와 사용법 — 큰 문제를 무시하는 것?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방 안에 있는 코끼리‘라는 뜻이 되지만, elephant in the room 는 모두가 알고 있지만 누구도 언급하지 않거나 피하고 싶은 문제를 가리킵니다. 즉, 중요한 문제나 논란이 눈에 보이지만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대화를 하지 않으려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비즈니스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구입니다. 방 안에 코끼리가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

  • ‘잘 부탁드립니다’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요? 상황별로 사용할 수 있는 5가지 표현

    ‘잘 부탁드립니다‘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이죠? 영어의 ‘부탁’은 ‘favor‘ 라고 하는데, ‘잘 부탁드립니다‘ 는 영어로 직접 번역하기가 조금 어려운 표현입니다. 그렇지만 한국어의 ‘잘 부탁드립니다‘는 주로 상대방에게 협조나 도움을 요청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영어에서도 그 의미와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그 표현들을 상황에 맞게 소개하겠습니다. 상황별로 쓸 […]